순환선(경산1,경산2)에 관해
페이지 정보
작성자 최인구 (219.♡.7.169) 댓글 1건 조회 2,757회 작성일 17-06-28 21:07본문
오늘 경산1-1 7312호를 타면서 차내에 부착되어있는 노선도를 보았는데요. 끝 부분에 사동중 다음 정류장이 백천으로 나와 있는 오류를 보았습니다.
그래서 이걸 수정해야할 겸 제안도 같이 해보려고 합니다.
일단 경산1번과 경산1-1번을 같이 한 차로 코리아와이드 대화와 공동배차하며 하루에 번갈아 운영하니, 차내에 경산1번과 경산1-1번 노선을 한 번에 알 수 있도록 하시면 좋겠습니다.
경산1번의 주 코스는 백천 -> 경산시장 -> 옥산 -> 정평한솔이고 경산1-1번은 경산1번의 역순인 정평한솔 -> 옥산 -> 경산시장 -> 백천이지요.
그러니까, 차내의 노선도 표시에서는
경산1 -----> <----- 경산1-1
한의대 - 사동중 - 백천 - 경산시장 - 옥산 - 이마트경산점 - 정평역(정평한솔) - 경산시청 - 등기소 - 사동중 - 한의대
이런식으로 경산1번의 노선을 적은 후 경산1-1은 어차피 경산1의 역순이니까 위와 같이 표기하면 헷갈리지 않을 것 같습니다.
경산2번의 경우에도
경산2 -----> <----- 경산2-1
한의대 - 백천(문명중/고) - 옥곡부영아파트 - 옥산 - 경산역 - 경산시장 - 임당역 - 경산시청 - 사동중 - 한의대
이런식으로 표기한다면 헷갈림이 훨씬 적을 것입니다.
또한 간혹가다보면 경산1/2나 경산1-1/2-1이 헷갈려 하시는 분들이 있어
차내에 '이 노선은 경산[[1]]번입니다.' 라는 표시 문구가 있으면 좋겠습니다.
경산1-1번을 운행한다면 ' 이 노선은 경산[[1-1]]번 입니다.'로 표기하면 더욱 이용하기 좋은 경산버스가 될 것입니다.
차 외부는 LED가 설치된다면 이 문제는 해결될 것 같습니다. 물론 경산1번 7534호가 설치가 좀 애매하지만 7531,7533호는 얼른 경산시청에서 LED설치를 빨리 해주시면 좋겠다는 생각이 드네요.
물론 위의 제안은 어디까지나 저의 아이디어라는 한계가 있지만 이렇게 하면 순환선 이용이 더욱 편리해 질 것 같아서 건의해 봅니다.
항상 경산버스의 무궁한 발전을 기원합니다!
그래서 이걸 수정해야할 겸 제안도 같이 해보려고 합니다.
일단 경산1번과 경산1-1번을 같이 한 차로 코리아와이드 대화와 공동배차하며 하루에 번갈아 운영하니, 차내에 경산1번과 경산1-1번 노선을 한 번에 알 수 있도록 하시면 좋겠습니다.
경산1번의 주 코스는 백천 -> 경산시장 -> 옥산 -> 정평한솔이고 경산1-1번은 경산1번의 역순인 정평한솔 -> 옥산 -> 경산시장 -> 백천이지요.
그러니까, 차내의 노선도 표시에서는
경산1 -----> <----- 경산1-1
한의대 - 사동중 - 백천 - 경산시장 - 옥산 - 이마트경산점 - 정평역(정평한솔) - 경산시청 - 등기소 - 사동중 - 한의대
이런식으로 경산1번의 노선을 적은 후 경산1-1은 어차피 경산1의 역순이니까 위와 같이 표기하면 헷갈리지 않을 것 같습니다.
경산2번의 경우에도
경산2 -----> <----- 경산2-1
한의대 - 백천(문명중/고) - 옥곡부영아파트 - 옥산 - 경산역 - 경산시장 - 임당역 - 경산시청 - 사동중 - 한의대
이런식으로 표기한다면 헷갈림이 훨씬 적을 것입니다.
또한 간혹가다보면 경산1/2나 경산1-1/2-1이 헷갈려 하시는 분들이 있어
차내에 '이 노선은 경산[[1]]번입니다.' 라는 표시 문구가 있으면 좋겠습니다.
경산1-1번을 운행한다면 ' 이 노선은 경산[[1-1]]번 입니다.'로 표기하면 더욱 이용하기 좋은 경산버스가 될 것입니다.
차 외부는 LED가 설치된다면 이 문제는 해결될 것 같습니다. 물론 경산1번 7534호가 설치가 좀 애매하지만 7531,7533호는 얼른 경산시청에서 LED설치를 빨리 해주시면 좋겠다는 생각이 드네요.
물론 위의 제안은 어디까지나 저의 아이디어라는 한계가 있지만 이렇게 하면 순환선 이용이 더욱 편리해 질 것 같아서 건의해 봅니다.
항상 경산버스의 무궁한 발전을 기원합니다!